본문 바로가기
(자료)기능.명령어

[스크랩] 건축가 류춘수(이공 건축사사무소 대표)

by 캐드존도면제작실 2008. 1. 15.
.. 안녕하세요. ^^
한국적(전 이 표현을 별로 좋아하진 않습니다)건축가로 인식되고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을 설계한 촌 아저씨 류춘수씨를 알아보겠습니다.

Profile

건축가 류춘수는 1946년 경북 봉화 출생. 한양대 건축학과와 서울대 환경대학원 조경학과 졸업. 74~86년 공간에서 근무하면서 김수근의 영향을 받았다. 86년 이공건축을 개설, 독자적인 작품활동을 벌였다. 작품으로는 한계령휴게소(83년 한국건축가협회상), 갈현동 소나무집(84년 대한건축사협회상), 삼하리주택(87년 경향하우징페어 주택공모전 대상), 서울올림픽 체조경기장(88년 콰테르나리오 88 국제건축상 금상), 리츠칼튼호텔(95년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 등이 있고, 중국 해남 민원해남공사 국제지면현상설계에서 868타워와, 중국 북경시 국제지명현상설계에서 경문여유성으로 당선. 최근 2002월드컵 서울경기장 설계에서 당선했다. 한양대 건축학과 강사, 대한민국 건축대전 심사위원, 건설부 중앙설계심의위원 등을 역임. 건축칼럼집 《흐르는 세월, 변하는 장소》을 출간한 바 있고 현재 종합건축사사무소 이공 소장으로 있다. 건축가 류춘수는 흔히 가장 한국적인 건축가로 평가된다. 이와 같이 평가되는 배경에는 그의 주택작품을 중심으로 보이는 토속적인 재료 사용과 공간 구성, 형태미 등이 있으나, 한층 더 근본적으로는 그의 건축이 그의 성장 배경과 종교에서 형성된 한국적 정서와 동양적 사고에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1946년 경북 봉화에서 출생한 그는 독실한 불교 신자로, 시골에서의 성장 배경과 향토적인 감성을 바탕으로 한국적 건축의 표현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왔다. 그의 건축적 스승이었던 고 김수근 선생이 전통의 현대화나 한국성의 구현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때가 부여박물관의 왜색 논쟁 이후였던 것과 비교해보면, 류춘수에게 있어서 전통이란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자신이 태어나고 성장해 현재의 그를 있게 만든 현재진행형의 삶의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가 ‘공간’ 시절 담당하였던 한계령휴게소(1979), 갈현동 소나무집(1982) 등에서 부분적으로 보이던 목재의 사용이나 전통적 건축요소의 활용은 삼하리주택(1986)을 기점으로 한층 더 적극적인 전통과 현대의 접목으로 나타나고 있다. 삼하리 주택은 김수근 선생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수행된 그의 대표적인 주택설계다. 이 주택은 그 당시 건축계에서 거의 잊혀지고 있던 가구식 목구조와 한옥의 현대화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그를 가장 한국적인 건축가로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경기도 장흥의 한적한 농촌에 들어선 삼하리주택은 가구식 목구조의 칸 구성과 한국적 스케일을 적용하는 가운데 맞배지붕·처마·마루·한식창호 등의 전통적 건축요소를 도입하고 있으나, 단순히 전통적인 건축요소의 차용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감각과 해석을 통해 현대적 한옥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비교적 단순해 보이는 규모와 기능, 평면 및 형태 속에 치밀한 공간 구성과 디테일 처리, 의미의 풍요로움이 함께 숨어 있다. 이 주택은 대지 중앙에 ㄴ자형으로 놓인 건물이 앞 뒤 마당을 연결하는 개방된 현관부를 중심으로 목구조의 본채와 콘크리트조의 부속채로 양분된 상태에서 두 채의 처마선이 연결된 모습을 취하고 있다. 폭이 좁은 대지의 중앙에 건물이 위치하여 마당을 분리하고 있는 형상이지만 오히려 건물로 인해 앞뒤 마당이 적극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매우 역설적인 상황이다.

ACADEMY HISTORY

1946 Born At Bonghwa, Kyungbuk Prov.

1961 Graduated From Attached Middle School of Andong Normal School

1964 Graduated From Taegu High School

1970 Graduated From the Architecture Dept. /Hanyang University

1985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Master's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IONAL HISTORY

1970∼71 Worked 'General Architects Associates'

1971∼74 Worked 'Chonghap Architects Associates'

1974∼86 Worked 'Space Group of Korea' /Director

1986. 10 Established 'Beyond Space Group'

1994. 3 National Plan-Check Committee Member in Ministry of Construction



AWARDS

1970 Best Award : Buddhistic Arts Public Subscription

1983 Best-7 Award :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e /Hankye-ryung Rest House.

1985 Selected Work :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Seoul Olympic Or. Committee

1987 Grand Award : '87 Kyung-Hyang Housing Fair/ Samhari House

1988 Gold Medal : QUATERNARIO 88 International Award /'88 Seoul Olympic Gymnastics Hall

1990 Achun Award :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e/ Samhari House

1992 Silver Medal : Seoul City Architectural Award/ Youngdeungpo Community Center

1992 Winning Work :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868 Towers/ Haikou, China

1994 Winning Work : International Competition 'Capital Gate Tourism City' Master Plan/ Beijing, China

1998 Winning Work : Turkey Competition for 2002 World Cup Main Stadium in Seoul






Exhibitions

서울 월드컵 경기장(1998)

월드컵과 올립픽을 통한 세계 스포츠 건축의 위대한 발전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며, 5000년 문화 민족의 전통적 조형 이
미지를 첨단 기술로 구현하여 민족과 세계의 건축유산으로 남
기고자 한다.
경기장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은 하나의 커다란 사각 방패연
승리를 향한 희망을 띄우고 월드컵을 통해 우리나라의 이미지
와 문화를 띄우며, 새로운 세기를 맞아 통일과 인류평화에 대
한 희망을 띄우는 이미지를 표현. 또한 주변의 마포나루와 황
포돛배의 상징성을 살려 경기장의 이미지를 황포돛배가 모여
있는 형상으로 표현.

올림픽 체조경기장(1985)

서울 올림픽 건축의 대표성을 갖는 실내 체육관이다. 미국
DAVID GEIGER 박사에 의한 세계 최초의 CABLE DOME 공
법이 적용된 125m 직경의 대규모 원형 체육관으로 10,000
명을 수용하며 절반은 이동식 좌석이 되어 스포츠뿐만 아
니라 전시, 행사 등 올림픽 이후의 다양한 활용성이 실증
되었다.






강촌 휴게소 (1990)


강원도 1990 한국 최초의 Tensile 건축. 흥취있는 잔치
집과 장날의 천막이 첨단기술인 Fabric 공법으로 구현
되었다. 현대적 재료와 전통적 자연재의 조화가 돋보인
다.
출처 : ★02건축★
글쓴이 : ⓐ심소연ⓐ 원글보기
메모 : 건축가 류춘수(이공 건축사사무소 대표)

TOP

캐드존영등포 서울영중로140 드림509호